감독과 극본가 천재네. #괴물
하나의 시선이 통일될 때 나오는 전체 인물의 심리와 맥락이 탁월함. 주요 어른 3명과 아이 2명의 시선이 교차되면서 채워지는 큰 그림이 대단했다.
제목의 한 단어로 설명되는 것은 인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느꼈다. 집단성, 헛소문, 오해, 정체성의 대립들을 집합시킬 단어로 선택했다고 생각이 들었다. 그리고 영화를 그 모든 것을 상세히 설명해 준다.

가장 좋았던 장면
1. 흙더미를 치우며 창문 밖을 보려는 두 인물
2. 미나토와 요리의 처음 대화 시작
3. 호리선생이 찾아낸 아이들의 마음과 상황
4. 미나토와 요리가 서로 나눈 부모에 관한 이야기
5. 교장선생의 마트장면
내가 느낀 영화의 맹점
알고 있다고 느껴도 아닐 수 있다. 단 하나의 절대적 진실만이 존재하는 상황은 그리 많지 않다. 모든 것들은 얽혀서 각자의 진실을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.
아역들이 연기를 참 잘했다.
'review 플레이 > 영 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화 청설 & 드라마 사랑한다고 말해줘 (0) | 2025.02.24 |
---|---|
2024년도 최고의 영화 / 딸에 대하여 (0) | 2025.02.24 |
서브스텐스 영화 리뷰 (0) | 2025.02.24 |
영화) 요로나의 저주 (The Curse of La Llorona, 2019) (0) | 2019.04.20 |
영화) 요람을 흔드는 손 (The Hand That Rocks The Cradle, 1992) (0) | 2019.04.14 |